알뜰정보

혼동하기 쉬운 물가용어 알아보기(소비자물가지수, 생활물가지수, 근원물가지수)

등록일 : 2025-07-31 11:03
1) 소비자물가지수(CPI, Consumer Price Index)
- 정의
소비자물가지수는 도시가구가 일상생활에서 구입하는 상품·서비스 458개 품목의
가격 변동을 가중평균하여 산출한 지표로, 전체 소비자가 상품과 서비스 품목을 구
입할 때 지불하는 가격의 평균 변동을 측정합니다. 순수한 가격 변동만을 반영하
며, 소득·소비 패턴 변화 등은 제외합니다.

- 용도
경제동향 분석, 정책 수립, 화폐 구매력 측정 등 광범위하게 활용됩니다.

2) 생활물가지수(Living CPI)
- 정의
소비자물가지수의 보조지표로, 소비자들이 자주 구입하거나 지출 비중이 높은
144개 생필품(쌀, 두부, 라면, 쌀 등)의 가격 변동을 가중평균하여 산출한
지표입니다. 일반 소비자가 체감하는 장바구니 물가에 더욱 근접하도록 설계되
었습니다.

- 특징
1998년 4월부터 발표
생활필수품 중심, 소비자 체감 물가 반영

3) 근원물가지수(Core CPI)
- 정의
전체 소비자물가지수에서 농산물(곡물 제외한 채소·과실류 46개) 및 석유류(휘발
유·등유·경유 등 7개) 등 일시적·외부충격에 민감한 품목을 제외한 436개 품목의
가격 변동을 집계한 지수로, 기조적(기본적) 물가 상승률을 파악합니다.

- 용도
단기적 외부 충격을 배제한 기조적 인플레이션 동향 분석, 통화정책 결정 보조







  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.